Q. 조울증 당사자입니다. 의료비 지원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.
A. 의료비 지원제도는 국가에서 제공하는 치료비지원사업,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치료비지원사업, 그리고 산정특례제도(조현병 및 조현스펙트럼장애만 해당) 등이 있습니다. 관련 내용은 아래 링크에 잘 소개되어 있으니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(링크 : 마포구정신건강복지센터 http://mmhwc.or.kr/support/1)
개요를 설명드리면, 국가 치료비지원사업은 발병초기(5년 이내) 또는 자타해위험성이 확인되어 강제입원, 퇴원한 사람에게 연 450만원 이내로 치료비지원을 합니다. 발병 후 5년 이내인 경우, 중위소득 120%이하 인 사람에게 제공합니다. (확인 결과, 지자체마다 예산 사정에 따라 '중위소득 ~%이하' 라는 기준이 상이합니다. 가령 마포구는 중위소득 120%이하인 자에게 외래치료비 지원을 하지만, 구로구는 중위소득 80%이하인 자에게만 지원합니다)
그리고 지자체 정신건강복지센터를 통한 치료지원사업은 센터에 등록한 회원을 대상으로 하며 (마포구정신건강복지센터의 경우) 외래진료비 연간 80만원 내, 심리검사비 20만원 내, 입원비는 100만원 내 지원합니다. 중위소득 140%인 사람에게 제공하며 치료비가 발생하기 전, 의료비 지원 동의서 작성이 필수입니다. 알고 계셔야할 점은, 등록 회원이라고 해서 명부에 이름만 싣고 사업에 참여하거나 활동하지 않는 회원의 경우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. 이 점 감안하여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
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 추가로 궁금하신점 있으신 경우, 부담없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=)
Q. 조울증 당사자입니다. 의료비 지원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.
A. 의료비 지원제도는 국가에서 제공하는 치료비지원사업,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치료비지원사업, 그리고 산정특례제도(조현병 및 조현스펙트럼장애만 해당) 등이 있습니다. 관련 내용은 아래 링크에 잘 소개되어 있으니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(링크 : 마포구정신건강복지센터 http://mmhwc.or.kr/support/1)
개요를 설명드리면, 국가 치료비지원사업은 발병초기(5년 이내) 또는 자타해위험성이 확인되어 강제입원, 퇴원한 사람에게 연 450만원 이내로 치료비지원을 합니다. 발병 후 5년 이내인 경우, 중위소득 120%이하 인 사람에게 제공합니다. (확인 결과, 지자체마다 예산 사정에 따라 '중위소득 ~%이하' 라는 기준이 상이합니다. 가령 마포구는 중위소득 120%이하인 자에게 외래치료비 지원을 하지만, 구로구는 중위소득 80%이하인 자에게만 지원합니다)
그리고 지자체 정신건강복지센터를 통한 치료지원사업은 센터에 등록한 회원을 대상으로 하며 (마포구정신건강복지센터의 경우) 외래진료비 연간 80만원 내, 심리검사비 20만원 내, 입원비는 100만원 내 지원합니다. 중위소득 140%인 사람에게 제공하며 치료비가 발생하기 전, 의료비 지원 동의서 작성이 필수입니다. 알고 계셔야할 점은, 등록 회원이라고 해서 명부에 이름만 싣고 사업에 참여하거나 활동하지 않는 회원의 경우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. 이 점 감안하여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
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 추가로 궁금하신점 있으신 경우, 부담없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=)